Projects
Exhibition
전시기간ㅣ2024.12.27.(금) - 2025.1.15.(수)
10:30am - 6:30pm
주소ㅣ서울 강남구 언주로 172길 24, 1층 arte k
주차 ㅣ서울 강남구 언주로 172길 23 아트타워 (유료)
불과 50년 전만 해도 우리는 61세를 맞는 환갑을 성대한 잔치로 축하하고, 100일 혹은 돌잔치를 열어 아기가 무사히 생존해 있음을 기념했다. 이는 오래 사는 것뿐 아니라 어린 아이가 무사히 성장하는 것조차 어려웠던 시절을 반영한다. 그러나 현대의 우리는 죽음을 멀게만 느낀다. 특히 최근의 인공지능과 유전자편집 기술 개발로 인해 인간은 영생을 향한 꿈에 한 발자국 더 가까워졌다. 이러한 극적인 변화는 반세기 만에 우리의 미래에 대한 기대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과거와 미래 사이에 놓인 현재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전이 공간’이다. 이 전환의 시대에 우리는 무한한 삶에 한층 다가갔지만, 우리의 몸은 여전히 유한성에 갇혀 있다. 미래에 대한 기대와 함께 영생이라는 미지의 영역에 대한 불안이 공존한다. 이 과도기적인 상태에서 미래에 대한 기대와 불안, 그리고 우리가 직면할 고민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 양수연 작가 노트
아르떼케이는 양수연의 개인전 《Liminal Space(리미널 스페이스)》를 개최한다. 서울과 홍콩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는 수묵 고유의 정서와 표현기법을 단련하며, 이를 현대적인 감각의 조형 언어로 시각화한 독창적인 작품을 발표해 왔다. 오랜 시간 작가가 몰두해 오고 있는 삶과 죽음, 영원성이라는 화두는 생과 사 사이 연결된 순환 고리를 끊임없이 사유하는 양수연의 작품 세계 전반을 관통하며 특유의 몽환적인 이미지로 표출된다.
전시 《Liminal Space(리미널 스페이스)》는 동명의 대표 연작 <Liminal Space>를 비롯하여 총 20여 점의 최근작을 선보인다. '문지방', 혹은 ‘현관’을 뜻하는 라틴어 리멘(Limen)에서 파생한 리미널리티(liminality)는 경계가 허물어진 전환의 상태를 의미한다. 영국의 인류학자 빅터 터너(Victor Turner, 1920-1983)가 정교화한 이 개념 위로 ‘문지방(threshold)’이 아닌 ‘문지방에 있음(being in threshold)’에 주목하는 작가의 시선이 더해져, 전시는 지나온 과거와 도래할 이후의 틈새에 위치한, 과도기적 시공간의 ‘상태’를 바라보게 한다.
양수연 화업의 바탕에는 늘 죽음이 자리해왔다. "(···)그러나 죽음은 어디에나 있다. 잘못 발을 헛딛으면 떨어져버리는 낭떠러지처럼 위태롭게 생과 사의 경계에 서있는 것이다.” * 양수연에게 죽음은 어쩌면 삶보다 명확히 인식되는, 손가락 피부 끝으로 민감하게 만져지는, 곧 일상의 그림자와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작가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에게 본연적으로 내재된 죽음에 대한 자각성을 상실한 현대인들이 미래에 대한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겪는 모습을 목격한다. 이러한 경험은 존재와 세계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로 이어져, 과거와 미래 사이를 매개하는 ‘현재’,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분기점인 ‘Liminal Space(리미널 스페이스)’에 대한 작업을 본격화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작가의 공간은 죽음의 경계 위에 존재하는 것들, 혹은 어떠한 경계도 지을 수 없는 비정형의 대상들이 각자의 내러티브를 직조하고 또 해체하는 형태로 펼쳐진다. 대상의 불확정적 위치와 모습은 관람자로 하여금 알 수 없는 낯선 경험을 전달한다. 이것은 현재 과도기적인 상태에서 우리가 마주하는 기대와 불안과 같은 종류의 경험이다. 규칙 없음만이 규칙으로 자리할 수 있는 리미널 스페이스는 우리가 세계에 던져진 유한한 존재임을 자각하게 함과 동시에, 우리를 일종의 사회적인 중간상태(social limbo)** 로 인도한다. 이곳에서 우리는 당연하게 여겨온 모든 권태로운 관습의 틀을 깨고, 당면한 세계를 탐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성현(아르떼케이)
—
*양수연 작가노트
**빅터 터너, 『제의에서 연극으로: 놀이의 인간적 진지성』, 김익두, 이기우 역, (서울: 민속원, 2014), p. 42.